본문 바로가기
심층분석

시프트업 주가전망

by 뉴스읽어주는아지야 2025. 4. 14.
728x90


착한 가격에 확실한 모멘텀, 

🎮 지금이 바로 매수 적기일까?

‘스텔라 블레이드’와 ‘니케’. 이름만 들어도 게임 유저들 사이에선 이미 익숙한 IP죠.
그 두 작품을 함께 가진 시프트업이 최근 확실한 투자 타이밍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14일 현대차증권은 시프트업에 대한 첫 리포트를 내놓으며,
**“지금이 매수 적기다”**는 의견과 함께 목표주가 60,000원을 제시했습니다.
현재 주가는 46,200원 수준. 무려 30% 가까운 상승여력이 열려 있다는 얘기죠.

📉 단기 실적은 다소 아쉬울 수 있어요

2025년 1분기 실적은 컨센서스보다 다소 낮게 예상됩니다.

  • 매출액: 377억 원 (YoY +0.9%)
  • 영업이익: 219억 원 (YoY -15.6%) → 컨센서스 대비 -16% 하회

주된 이유는 인기 게임 '니케'의 일시적인 매출 둔화 때문입니다.
2분기 대규모 이벤트를 앞두고 유저 이탈을 방지하는 ‘숨 고르기’ 국면이라 볼 수 있죠.
여기에 개발 인력 증가로 일회성 인건비 20억 원이 반영되면서 영업이익이 소폭 둔화된다는 분석입니다.

🚀 진짜는 지금부터다: 5~6월 대형 모멘텀 대기 중

단기 조정이 투자 기회인 이유, 바로 5~6월부터 시작되는 모멘텀 때문이에요.

🔹 1) 니케 중국 출시 (5월 예정)

  • 사전예약자 수 600만 명 돌파
  • 비교 대상: '원신'은 1,000만 명, 일본에서 ‘니케’는 원신 매출의 80% 이상
  • 현대차증권은 중국 매출만 연 2,500억 원 이상으로 추정

보수적으로 잡아도, 지금보다 훨씬 큰 매출이 기대된다는 이야기죠.

🔹 2) 스텔라 블레이드, 스팀 버전 출시 (6월 예정)

  • 기존 PS5 판매량 170만장 → 스팀 판매는 연말까지 120만장 전망
  • 니케 IP와의 콜라보도 예정되어 유저 관심 유입이 기대됨
  • 콘솔 → PC로 확장되며 IP 가치의 확장성 입증

특히 이 스팀 버전은 ‘라이브 업데이트’와 ‘이벤트 콜라보’를 중심으로
콘솔 게임을 마치 모바일처럼 운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이고 독특합니다.

💸 밸류에이션은? 너무 착하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2,700억 원 수준인데요,
2025년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보면 다음과 같은 숫자가 나옵니다.

  • 2025F EPS: 2,988원
  • 2025F P/E: 14.5배
  • 2025F ROE: 20.5%
  • P/B: 2.7배

여기에 현대차증권은 목표 P/E 20배를 적용했는데,
글로벌 동종 게임사 평균보다 15% 할인된 수준입니다.
즉, 모멘텀도 있고, 숫자도 좋은데, 아직 저평가 되어 있다는 얘기죠.


📌 결론: 숨 고른 지금, 기회는 우리 몫

1분기 실적이 아쉬워 보일 수 있지만, 5~6월부터 쏟아질 이벤트와 신작 효과를 생각하면
지금은 조정 구간이라기보단 **‘기대치를 낮춘 진입 시점’**으로 보는 것이 맞아 보입니다.

  • 5월 ‘니케’ 중국 흥행 기대
  • 6월 ‘스텔라 블레이드’ 스팀 출시
  • EPS 상승 + 플랫폼 다각화 + 글로벌 확장성
  • 목표주가 60,000원 / 현재가 46,200원 → 상승여력 30%

단순한 매출 성장뿐만 아니라, 콘솔과 모바일을 잇는 IP 전략이 이 기업의 진짜 경쟁력입니다.


💬 투자자에게 한마디

주가는 항상 실적보다 빠르게 움직이지만,
진짜 기회는 늘 ‘기대가 낮아졌을 때’ 찾아옵니다.
지금은 모두가 쉬어갈 때지만, 그 속에서
당신만은 다음 스테이지를 준비하고 있는 거죠.

“사람들이 놓칠 때, 당신은 이미 들어가 있는 것.
그게 진짜 투자자의 자격 아닐까요?”


❓ Q&A: 시프트업 관련 궁금한 것들

Q1. 니케 중국 출시가 왜 중요하죠?

A. 중국은 글로벌 모바일 게임 매출의 핵심 시장입니다. 니케가 일본에서 원신을 이긴 전적도 있기에, 매출 서프라이즈 가능성이 큽니다.

Q2. 스텔라 블레이드는 콘솔 게임 아닌가요?

A. 맞습니다. 하지만 스팀 출시와 함께 모바일식 업데이트를 도입하면서 콘솔+라이브의 복합 IP 전략으로 진화 중입니다.

Q3. 실적이 고점 찍고 꺾이는 거 아닌가요?

A. 2026년 실적은 조정될 수 있지만, 이는 기저효과 때문이며, 2027년 다시 회복되는 흐름입니다.

Q4. 경쟁사 대비 어떤 차별점이 있나요?

A. IP의 독창성, 콘솔과 모바일의 유연한 전환 전략, 그리고 자체 제작 능력이 뛰어납니다.


🏷️ 관련 태그

  • #시프트업
  • #니케
  • #스텔라블레이드
  • #게임주
  • #콘솔IP
  • #중국게임출시
  • #밸류에이션저평가

🔗 차트읽어주는사람들 유튜브
🔗 네이버 카페 차트읽어주는 사람들


 

728x90

'심층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양식품 주가분석 2탄  (2) 2025.04.14
유니드 주가전망  (0) 2025.04.14
HDC현대산업개발 주가 전망  (0) 2025.04.14
한화오션 주가전망  (0) 2025.04.14
한화 에어로스페이스 주가전망  (0)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