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왜 경제를 다시 손봐야 하나요?"
베센트 재무장관:
"전임 바이든 정부는 지나치게 돈을 뿌렸어요. 그 덕에 일부는 살기 좋아졌겠지만, 정작 서민과 중산층은 생활비만 더 오르고, 집도 못 사고, 빚만 쌓였죠."
📌 예를 들어서, 여러분이 미국 중산층이라고 생각해보세요.
- 물가는 22% 넘게 올랐고요
- 식료품, 자동차 보험, 렌트비까지 다 폭등
- 집값이 올라 집도 못 사고
- 반면 부자는 주식 올라서 더 부자 됐어요
그래서 베센트 장관은 이렇게 말했죠:
“이건 더 이상 아메리칸 드림이 아니에요.”
2️⃣ "돈 줄이되, 민간은 살려야죠"
"정부는 지출 줄이고, 기업은 숨통 틔워줄게요."
📌 계획은 이래요:
- 정부 지출은 점진적으로 줄이기 (적자 비율을 GDP 대비 3%로)
- 기업들은 더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금융 규제 완화
- 낮고 예측 가능한 세금
- 에너지 값은 싸게 유지
- 제조업은 다시 미국으로 (→ 관세 도입)
👉 말하자면, "정부는 살짝 빠지고, 시장은 뛰게 해주겠다"는 거예요.
3️⃣ "정부도 비즈니스처럼 굴려보자"
여기서 나온 핵심 개념이 바로 DOGE 프로젝트!
"진짜 비즈니스맨들이 정부 운영을 들여다보는 실험이에요."
- 엘론 머스크, 하워드 러트닉 같은 기업가들이 정부 효율화 참여
- 쓸데없는 계약, 낭비 다 걷어냄 (ex. 20년째 같은 계약업체 쓰는 거 없애기)
- IRS(국세청)도 개혁해서, 개인정보 보호 + 납세자 서비스 강화
4️⃣ "생활이 어려우면 아무 소용 없잖아요"
**생활비 해결 전담 팀 (Affordability Czar)**도 만들 예정이에요.
- 주택 부족 → 규제 완화로 공급 늘릴 계획
- 에너지비 절감 → 신재생에너지 말고 현실적인 대안도 고려
- 공급망 문제도 단기/중기 대책 함께
👉 베센트는 "에너지비, 주거비 해결 없이는 아메리칸 드림 회복 불가"라고 강조했어요.
5️⃣ "국부펀드도 만들 거예요!"
"미국도 국민을 위한 자산을 운용하는 펀드를 만들 거예요."
- 호주, 중동 국부펀드처럼 수익 창출형 펀드 구성
- 정부가 가진 자산(토지, 에너지 등) 활용
- 수익은 국민 전체 복지에 쓰이게
🇰🇷 한국 주식시장엔 어떤 영향?
이제 중요한 건, 우리 한국 시장엔 어떤 파장이 올까?
🔻 관세 강화 → 무역 둔화 우려
- 미국이 제조업 보호를 위해 관세를 올린다면
→ 한국 수출 기업, 특히 전자, 기계, 자동차 부문 타격 가능성 있음.
🔻 금융 규제 완화 → 미국 증시 상승 여지
- 미국 기업에 대한 규제 줄이면 기술주 중심으로 미국 증시가 강세
→ 코스피, 코스닥도 미국 따라갈 수 있음 (특히 반도체, 2차전지 등)
🔻 금리 인하 시사? → 원화 강세 요인
- 규제 완화 + 에너지 안정 + 인플레 억제 → 금리 인하 가능성
→ 원달러 환율 안정, 외국인 자금 유입 기대
🔻 국부펀드 구상 → 글로벌 자금 이동 영향
- 미국 정부도 투자를 한다?
→ 한국과 경쟁적인 자금 유치 환경, 하지만
→ 반대로 한국 주식·채권에도 미국 자금 유입될 여지도 있음
💬 한 줄 정리!
"스콧 베센트의 미국 경제 구상은 '적은 정부, 강한 민간'으로 요약돼요.
우리 입장에선 수출기업은 조심, 미국발 훈풍은 기대!"
728x90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4월 1일(월) 증시 전망: 공매도 재개 + 스태그 공포 = 혼돈의 장 (2) | 2025.03.29 |
---|---|
🍱 2024년 중국 간편식 트렌드, 그리고 투자 기회는? (0) | 2025.03.29 |
💊AI 기반 신약개발, 한국이 선도국 될 수 있을까? (3) | 2025.03.29 |
🌍바이오헬스 산업, 지금 어디로 가고 있나? (2) | 2025.03.29 |
🚗 테슬라 자율주행 낙제? 대세는 중국이었다!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