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26일(현지시간) 미국 마감시황
트럼프의 50% 관세 발언 → 협상 전략 해명 → 다시 강경 발언
옵션 만기·휴일 앞두고 '불확실성 + 변동성' 공존한 하루
✅ 오늘 미국 시장 핵심 요약 (한줄 정리)
“트럼프의 관세 발언으로 출렁였던 시장, 베센트 장관의 진화에도 연휴 앞두고 재차 흔들림”
✅ 지수 흐름 요약 (숫자보다 해석 중심)
지수 종가 등락률
다우존스 | 39,006.60 | -0.61% |
S&P500 | 5,304.72 | -0.67% |
나스닥 | 16,920.58 | -1.00% |
러셀2000 | 2,059.26 | -0.28% |
필라델피아 반도체 | 5,172.24 | -1.53% |
👉 이날 시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EU 50% 관세 발언으로 급락세를 보였으나, 재무장관의 ‘협상 전략’이라는 언급으로 일부 낙폭을 회복했습니다. 그러나 장 막판 재차 강경 발언이 나오면서 다시 흔들림.
✅ 핵심 변수: 트럼프 vs 베센트
인물 발언 요약 시장 영향
트럼프 | “6월 1일부터 EU에 50% 관세 부과하겠다” | 장 초반 시장 급락 |
베센트 재무장관 | “협상 전략의 일환, 과민 반응 말라” | 장중 반등 유도 |
트럼프 (장 막판) | “협상이 아니다, 부과 강행” | 장 마감 전 다시 하락 |
🌀 중요 포인트: 시장은 트럼프의 강경 발언에 예민하게 반응했지만, 베센트의 완화 시도 덕분에 급락은 피했음. 하지만 장 막판에는 트럼프의 원자력 행정명령 서명 이후 다시 관세 발언을 반복하면서 변동성 확대.
✅ 특징 섹터 & 종목 흐름 분석
📈 강세 섹터: 원자력 관련주
트럼프가 “원자력은 친환경이며, 미래산업이다”라며 원자력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 이에 따라 아래 종목들 급등
종목명 등락률 사유
오클로 | +23.04% | 트럼프의 원자력 강조 발언 |
뉴스케일파워 | +19.43% | 원자력 인허가 속도 언급 |
BWX테크놀로지 | +11.03% | 원자력 국방 활용 확대 기대 |
센트러스에너지 | +21.59% | 트럼프 서명식 참석 기업 |
나노누클리어 | +30.07% | 신소형원전 기술 부각 |
📌 코멘트: 원전 관련 테마는 **국내 원전주(두산에너빌리티, 보성파워텍 등)**에도 긍정적 자극 예상.
📉 약세 섹터: 대형 기술주 / 유럽 수출 관련 / 전기차
🧾 애플 (-3.02%)
트럼프: “미국 내 생산 안 하면 25% 이상 관세 부과할 것” → 직접 언급으로 매도세 확대
🔌 테슬라 (-0.50%)
웨드부시 목표가 500달러 상향에도 EU 관세 + 전기차 세금 부과 이슈로 하락
📱 반도체 전반 (SOX -1.53%)
특허 침해 이슈 & 관세 부담 부각:
종목 하락률 사유
TSMC | -2.15% | EU 수출 우려 |
텍사스인스트루먼트 | -2.17% | 관세 부담 반영 |
브로드컴 | -0.79% | 스마트폰 수요 둔화 우려 |
👟 소비주 하락
로스스토어(-9.85%), 룰루레몬(-3.03%), 나이키(-2.12%) 등: **“관세가 실적을 압박한다”**는 경고 후 급락
✅ 미국 국채 금리와 수급 동향 요약
항목 주요 변화 해석
MOVE Index | 100.91p (+1.45%) | 채권 시장 변동성 확대 |
10년물 금리 | 낙폭 축소 후 소폭 반등 | 옵션 만기 + 연휴 앞둔 정리 매물 |
CFTC CTA 포지션 | 10년물 순매도 확대, 30년물 축소 | 리스크 관리에 따른 포지션 조정 |
CME 미결제약정 | 10년물 증가, 30년물 감소 | 중단기물에 헤지 집중, 장기물 관망 |
🧠 핵심: 단기적으로는 장기채 비중을 줄이며 불확실성 관리, 금리 급락 후 되돌림 구간 진입.
✅ 글로벌 무역 전쟁 리스크 재점화
📌 트럼프의 관세 발언 요약
- EU 수입품에 50% 관세 6월 1일부터 시행
- “협상 원하지 않는다” 명확하게 언급
- 애플, 삼성도 관세 부과 경고
📌 EU의 대응
- 최대 280억 달러 美수출품에 보복 관세 준비
- 품목: 식품·목재·의류·가전·자동차 등
- "협박 아닌 존중 기반 협상 원해"
👉 미국과 EU 간 관세 갈등 →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재부각
→ 이는 한국 수출 기업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 (자동차, 반도체, IT기기 등)
✅ 초보 투자자를 위한 쉬운 해석
“트럼프가 ‘세금 때리겠다’ 소리 하니까, 시장이 놀라서 빠졌다가, 재무장관이 ‘그냥 협상 카드일 뿐’이라니까 다시 올라갔다가... 트럼프가 또 세게 말하니까 또 빠졌고...”
✅ 다음 거래일 한국장 전략 (5월 27일 화요일)
“장 초반은 관세 경계감, 하지만 정책 수혜주 + AI 실적 대기 테마가 중심될 수 있는 하루”
📌 1. 관세 이슈 vs 정책 수혜 테마의 대립
이슈 해설 영향 섹터
트럼프의 EU 관세 부과 예고 | 6월 1일부터 50% 관세 부과, 애플·삼성도 언급 | 반도체, 스마트폰, 소비재 수출주 약세 우려 |
베센트 재무장관의 진화 | “협상 전략일 뿐” 시장 진정 시도 | 낙폭 제한 기대, 기술주 일시적 반등 가능 |
트럼프의 원자력 육성 정책 | 원자력은 뜨거운 산업, 규제 완화 언급 | 두산에너빌리티, 보성파워텍, 일진파워 등 원전주 재부각 가능 |
🔎 관세 리스크로 인해 수출 중심주의 변동성은 불가피하나, 정책 수혜주는 여전히 매수세 기대.
📌 2. AI 실적 발표 앞두고 ‘테마 재편 구간’
- 미국 기준 5/28(수) 밤에 엔비디아, 세일즈포스, C3AI 등 AI 대표주 실적 발표
- 국내에서는 AI 반도체, 서버, 국산화 관련주 등 실적 연동 기대감 형성
AI 기대 관련주 특징
알체라, 오픈엣지, 에이디테크놀로지 | 칩, 보안, 서버용 모듈 분야 |
솔트룩스, 셀바스AI | 국산 LLM 및 AI소프트웨어 |
이수페타시스, 코리아써키트 | AI 서버 PCB 공급망 기대주 |
📌 실적 앞두고 미리 올라간 종목은 조정 가능성 있으나, 실적 확인 후 저가 매수 유효
📌 3. 원자력 관련주: 트럼프 행정명령 수혜, 국내 반응 주목
- 트럼프의 서명 자리 발언:
- “원자력은 친환경이며 규제 완화로 산업에 속도가 붙을 것이다.”
- 국내 원전주: 두산에너빌리티, 보성파워텍, 에너토크, 우리기술, 우진 등
🧩 최근 원자력 관련 이슈가 ‘간헐적 정책성 급등’ 형태로 이어지는 만큼 타이밍 조절 필수, 당일 시초가 강세 여부가 중요
📌 4.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대형주는 관망 전략
- 트럼프가 삼성전자에도 25% 관세 경고 발언
- 반도체 업황 기대감은 있으나, 정치적 리스크로 인해 단기 약세 흐름
- SK하이닉스는 AI 고성능 메모리 기대감 지속, 다만 관세 영향 제한적 해석 가능
⚠️ 장 초반 변동성 높을 가능성… 저점 분할매수 또는 눌림목 진입 전략 필요
📌 5. 그 외 테마 전략 요약
섹터 전략
방산주 | 국방비 증액 + 팔란티어 상승 → 빅텍, 퍼스텍 등 재부각 가능 |
2차전지 | 실적 공백 + 수급 소강 구간, 정책 기대보다 낙폭과대 접근만 유효 |
음식료주 | 루머성 상승 뒤 하락, 실적 없는 상승은 추격 금지 |
정치테마주 | 대선 관련 뉴스 없음, 재료 소강 시 정리 필요 |
여행·항공 | 유가 약세 + 환율 안정 → 중립 이상 유지 |
✅ 종합 전략 제시
✅ [중립] 관세 불확실성 장기화 우려
→ 수출주 비중 축소 / 박스권 대응
→ 트럼프·EU 대치 강도에 따라 6월 초 변동성 확대 가능성
✅ [긍정] 정책 수혜 섹터 집중
→ 원자력 + AI 실적 발표 연계주에만 테마 접근
→ 스윙 전략보다 짧은 매매 타이밍 조절이 중요
🧭 국내장 투자자 행동 전략
유형 전략
장기 투자자 | AI, 국방, 원자력 등 구조적 테마 → 눌림목 분할매수 유지 |
단기 트레이더 | 테마 변동성 확대 감안해 당일 고점 추격은 금지, 전일 강세주 흐름 추적 |
초보 투자자 | 시장 전체보다는 섹터 중심으로, 특히 정부 정책 관련 수혜 종목 위주 관찰 |
그럼 우리나라에는 어떤 영향이?
- 삼성전자 등 글로벌 수출 비중 높은 기업들: 관세 부과 땐 수출 채널 둔화 우려
- 반도체, 자동차 등 유럽과 수출 경쟁 중인 산업: 파급 가능성
- 원자력 테마: 국내 원전주엔 긍정 (두산에너빌리티 등)
✅ 주간 일정 체크리스트 (5/27~5/31)
날짜 주요 이벤트
5/27(화) | 소비자신뢰지수 / 내구재 주문 / 2년물 국채 입찰 |
5/28(수)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장후), OPEC+ 회의 |
5/29(목) | 한국 금통위 / 美 GDP / 7년물 국채 입찰 |
5/30(금) | 美 PCE 물가지수 / 개인소득, 소비지출 |
5/31(토) | 중국 제조업·서비스 PMI 발표 |
🔥 주목 포인트:
- 엔비디아 실적 → AI 테마 지속 여부 가늠
- PCE 물가 → 연준의 금리 정책 판단 핵심 지표
✅ 미국장 투자 전략 요약 (실전 대응)
📌 장기 투자자
- AI/원자력 등 구조적 성장 섹터 유지
- 관세 이슈는 단기 충격일 수 있음
📌 단기 트레이더
- 변동성 확대 시 '반등 포인트' 중심으로 매매
- 엔비디아 실적 이후 방향성 확인 필수
📌 초보 투자자 팁
- 급등/급락 뉴스에 휘둘리지 말고 ‘이유’를 보자
- 원전, AI 같이 정부와 정책이 밀어주는 테마는 흐름이 길다
✅ 오늘장 Q&A (초보용 5문 5답)
1️⃣ 왜 빠졌나요?
→ 트럼프가 EU에 50% 관세를 부과한다고 하면서 시장이 흔들렸어요
2️⃣ 다시 올라오던데요?
→ 재무장관이 “그냥 협상용 카드”라고 말해서 다시 반등했어요
3️⃣ 애플 왜 이렇게 빠졌나요?
→ 트럼프가 “미국에서 안 만들면 세금 25% 때릴 것”이라 했거든요
4️⃣ 원자력주는 왜 급등했죠?
→ 트럼프가 원자력은 친환경이며 미래산업이라며 지원 정책 발표했어요
5️⃣ 우리 증시에는 어떤 영향 있나요?
→ 단기적으로 수출주에 부담, 하지만 원자력/AI 관련주는 수혜 기대돼요
✅ 차트읽어주는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