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분석

💡 반도체 전쟁, 누가 웃을까

뉴스읽어주는아지야 2025. 5. 21. 21:03
728x90

– 대장주 vs 소부장 실적 분석으로 보는 주가 전망


🌍 1. 반도체 시장, 다시 뛰기 시작했다

2022~23년은 긴 터널이었습니다.
메모리 가격 폭락, 재고 급증, 투자 축소.
하지만 이제 상황이 바뀌고 있어요.

2024년 하반기부터는

  • DRAM/HBM 중심의 수요 회복
  • AI 시대 본격 진입
  • 재고 정상화 → 출하량 증가 → 수익성 회복
    이라는 선순환이 시작될 거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 2. 삼성전자: '거인의 방향 전환'이 시작됐다

  • 현재 주가: 55,800원
  • 목표 주가: 74,000원
  • 업사이드: +33%
  • 투자의견: 매수(BUY)
  • 2025년 실적 전망:
    • 매출액: 321.6조
    • 영업이익: 3.3조
    • 순이익: 3.1조

📌 핵심 포인트

  • Capex 전략 변경 → 단기 점유율보다 R&D 중심으로
  • DRAM 1c + HBM4 준비 중
  • 하반기부터 HBM3e 시장 재진입 가능성
  • 파운드리 부문은 아직 부진이지만, 4nm 안정화 시작

삼성전자는 더 이상 “기대감”만으로 오르지 않아요.
지금은 ‘입증의 시기’입니다.
하반기에 성과가 가시화되면 시장도 반응할 겁니다대신증권_SK하이닉스_20250521071….


🐯 3. SK하이닉스: '기술로 증명하는 회사'

  • 현재 주가: 199,400원
  • 목표 주가: 280,000원
  • 업사이드: +40%
  • 투자의견: 매수(BUY)
  • 2025년 실적 전망:
    • 매출액: 88조
    • 영업이익: 3.8조
    • 순이익: 3.1조

📌 핵심 포인트

  • HBM3 선점 + HBM4 세계 최초 양산 준비 중
  • DRAM 1c 공정 수율 80% 후반 → 기술 우위 입증
  • 연내 순현금 구조 전환 → 재무 체력 확보
  • NAND 부문도 수익성 회복 중

하이닉스는 지금 가장 실적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기업입니다.
HBM 매출은 폭증하고, 기술력은 TSMC급 고객들과 직접 연결되는 수준까지 왔어요

 


⚙️ 4. 소부장주, 지금부터 ‘진짜’만 살아남는다

🛠️ 반도체 장비 공정 흐름도 – 증착 → 식각 → 테스트, 기업별 위치 표시

  • Eugene Tech: 증착(Deposition)
  • PSK: 식각(Etching)
  • Hanmi Semiconductor: 테스트(Test)

이제 “AI 수혜주”라는 말만으론 안 먹힙니다.
실적이 뒷받침되는 소부장주만 살아남을 거예요.

✅ 매출/영업이익 중심 우량 소부장 리스트

기업명핵심역할2024E 매출2024E 영업익특징

한미반도체 HBM 테스트 장비 4,100억 1,000억 삼성·하이닉스에 납품 확대
유진테크 ALD 증착 장비 5,500억 1,100억 DRAM, NAND향 증착 핵심
덕산네오룩스 OLED 소자 3,800억 850억 삼성디스플레이에 독점 공급
원익QnC 세라믹 부품 6,000억 1,000억 반도체 공정소재 특화
PSK PR 제거장비 4,700억 900억 수율 상승에 직접 기여
테스나 테스트 전문 2,500억 400억 AI 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강자

👉 위 기업들은 실적 기반 성장과
AI HBM 공정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는 게 중요합니다.

2025년 실적 기준으로 보면
PER 15배 이하 기업도 여럿 있어, 아직 저평가 영역이라는 판단이 많아요.

 

📊 실적과 주가, 어떤 흐름일까?

🔎 2023~2025 매출 성장률 TOP3 (예상)

  • SK하이닉스 +166%
  • 한미반도체 +102%
  • 유진테크 +85%

📈 영업이익률 상위 소부장주 (2025E 기준)

  • 덕산네오룩스 22%
  • 유진테크 20%
  • 한미반도체 18%

🧭 투자자에게 드리는 한마디

"기술을 가진 자가 시장을 지배합니다.
숫자로 증명하지 못하면, 결국 말뿐인 기대감은 꺼지게 되어 있습니다."

반도체는 기대에서 실적으로 이동하고 있어요.
대장주는 하반기,
소부장주는 실적 발표 직후
강한 반응이 나올 수 있는 타이밍입니다.


❓ Q&A 정리

Q1. 대장주와 소부장, 어떤 걸 먼저 들어가야 하나요?

대장주는 분할매수, 소부장주는 실적 발표 타이밍을 노리는 게 유리합니다.

Q2. SK하이닉스가 너무 오른 건 아닌가요?

→ 2025년 PER 4.6배 수준입니다. 아직도 상대 저평가 영역이에요.

Q3. 소부장주는 너무 테마성 아닌가요?

→ 이제는 테마보다 실적입니다. 실제 납품과 매출 증가가 확인되는 기업 위주로 보세요.

Q4. 삼성전자는 왜 이렇게 안 가나요?

→ 시장은 ‘기대’가 아니라 ‘입증’을 원합니다. 하반기 HBM 진입 여부가 변곡점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