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시황

📊 2025년 4월 25일 국내외 마감시황

뉴스읽어주는아지야 2025. 4. 26. 09:08
728x90


 

“압박이 끝나고, 협상의 문이 열렸다”


🛎️ 오늘 시장을 만든 진짜 이유

2025년 4월 25일, 시장은 겉으로는 ‘기술주 강세’와 ‘관세 완화 기대’라는 긍정적인 뉴스로 가득했습니다.
하지만 수면 아래에서는 더 깊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 한미 양국 통상 협의 → ‘7월 관세 합의’ 기대
  • 트럼프 발언 → "중국과 협상 중" 시그널
  • 중국도 일부 품목 관세 면제 고려
  • 연준 인사들 → 금리인하 가능성 언급
  • 외국인 수급 변화 감지
  • 기술주 중심으로 글로벌 자금 재배치

표면적인 호재보다 중요한 건,
시장의 심리, 수급, 매크로 환경이 동시에 전환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 국내 증시 – 단순 반등 아니다

📈 KOSPI: 2,546.30pt (+0.95%)

  • 4월 들어 지지부진했던 흐름이 오늘 뚜렷한 방향성을 만들었습니다.
  • 외국인 +2,233억, 기관 +4,987억 동반 매수
  • 특히 선물 시장에서도 신규 매수 중심 → 단순 매도청산이 아님
  • 프로그램 비차익 매수 강하게 유입
  • 반도체, 조선, 2차전지, AI 관련주 중심의 강한 탄력

‘수급이 살아있다’는 것은
단순히 하루 오르고 마는 흐름이 아니라
**"자금이 시장에 들어오기 시작했다"**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 KOSDAQ: 729.69pt (+0.50%)

  • 코스피 대비 탄력은 약했지만 외국인 매수 유지
  • 반도체, 엔터, 게임 등 일부 섹터 강세
  • 리노공업(액면분할 후 거래 재개) 등 중소형주 강세
  • 다만 제약바이오 섹터는 차익실현 매물 출회로 혼조세

코스닥은 수급보다 이슈 기반 종목 장세가 뚜렷했습니다.


📊 수급 심층 분석

주체 거래소 코스닥

외국인 +2,233억 +785억
기관 +4,987억 -565억
개인 -7,741억 -56억
  • 외국인은 현물+선물 동반 순매수 전환
  • 특히 선물 신규 매수 중심 → 레버리지 롱 포지션 구축 가능성
  • 기관은 코스피 중심 매수, 코스닥은 매도 우위
  • 개인은 대부분 매도, 다만 소형 테마주에는 단타성 수급 유입

📌 중요한 점: 외국인과 기관이 같은 방향(매수)으로 움직이는 경우, 중기적인 흐름 변화로 이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 오늘 강세 테마 심층 분석

① 2차전지 – ‘나트륨이온 혁명’ 기대

  • 중국 CATL, 차세대 나트륨이온 배터리 ‘낙스트라(Naxtra)’ 공개
  • 리튬 대비 가격경쟁력 + 안정성 부각
  • 국내 나트륨 관련주 급등
    • 자이글(+30.0%), 메가터치(+20.3%), 디에스케이(+19.2%), 애경케미칼(+29.9%)

📌 해석: 나트륨이온은 리튬 공급망 리스크를 줄이는 대안으로 기대되며, 장기 산업 패러다임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② 반도체 – 'AI 서버 시대'의 수혜

  • SK하이닉스, 예상 뛰어넘는 1분기 실적 발표
  •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1.03%
  • 미래반도체(+25.2%), 예스티(+24.4%), 리노공업(+11.3%) 동반 급등

📌 해석: 단순한 업황 반등이 아니라
AI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장 → HBM 수요 폭발이라는 대전환기 흐름을 타고 있습니다.


③ 조선·방산 – '미국발 모멘텀'

  • 한화오션(+11.12%): 美 해군성 장관 방문 이슈
  • 삼영엠텍(+10.67%): 조선기자재 수요 증가 기대
  •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강세 지속

📌 해석:
미국은 향후 방산, 조선 분야에서 한국과 협력 심화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습니다.


④ 정책주 – '정치 테마 대폭발'

  • 삼륭물산(+29.95%): 탈플라스틱 정책 부각
  • 큐라티스(+29.95%): 비만 치료제 기대감
  • 한동훈, 한덕수 관련 정치 인맥주 시간외 강세

📌 해석: 선거 일정이 다가올수록
정책주→정치 테마주로 시장 이슈 중심 이동할 가능성 높음


🌎 해외 시장 – 글로벌 변화의 조짐

🇺🇸 미국 증시

지수 종가 변동률

다우 40,113.5pt +0.05%
나스닥 17,382.9pt +1.26%
S&P500 5,097.0pt +0.74%
  • 테슬라(+9.8%): 로보택시 출시 기대
  • 엔비디아(+4.3%): AI 서버 수요 재부각
  • 아마존, 알파벳 등 대형 기술주 강세

📌 관세 협상 기대 + 기술주 실적 기대감 = 위험자산 선호심리 회복


🇨🇳 중국 시장

  • 공식 언급은 없지만 미국과의 관세 갈등 완화 기대
  • 일부 품목(의료기기, 화학제품) 관세 면제 검토
  • 인민은행, 추가 금리 인하 시사

📌 중국 내수 부양 강화 기대가 높아지는 상황


💱 글로벌 환율/원자재 흐름

항목 수치 변동

원/달러 환율 1,436.5원 +1.5원
미국 10년물 금리 4.321% -6.8bp
국제유가(WTI) 83.75달러 +0.49%
금 가격 2,338.50달러 -0.55%
  • 관세 완화 기대감으로 달러는 강세
  • 국제유가, 경기 침체 우려 둔화로 반등
  • 금값은 차익실현성 하락

🧠 종합 전략 – "수급이 변하고 있다"

✅ 관세 리스크 완화
✅ 외국인 수급 회복
✅ 실적주 중심 매수 강화
✅ 정책주 단기 이슈 부각

⛔️ 단, 중간중간 변동성은 계속 존재 (특히 정치 이슈, 트럼프 발언 변수)


🔥 투자자에게 드리는 한마디

"지금은 느리게 오는 기회를 잡을 시간입니다."

반도체, 조선, 친환경, AI, 정책주.
이 핵심 키워드를 중심으로,
확실한 수급 흐름을 가진 종목만 선택하세요.

이 기회, 다시 오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 ‘차트읽어주는사람들’ 브랜드 링크


728x90